휴식(休息)은 농부가 나무에 기대어(休) 잠쉬 쉬며 숨을 고르는 형상(息)에서 나온말 이라고 한다. 글자가 생기기 시작하던 그 오래된 시절에도 숨을 고른다는 것이 "쉰다"는 행위에 있어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듯 하다. 이처럼 휴식이라는 글자를 해석하기만해도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좋은 방법을 알 수 있다.
숨을 쉬는 것은 개인에게 뿐만아니라 커다란 단체에서도 그 의미가 통용된다. 예를들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막혔을때 잠시 숨을 고른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 프로젝트라는 거대한 생명체에서도 우리는 "숨쉼"을 강조하고 있다. 크게 숨을 들이키고 내쉴때 느끼는 안정감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런 관용적인 표현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갑자기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 처했을때, 가만히 눈을 감고 숨을 고르는 일만 해도 증상이 많이 완화된다. 단순히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 뿐만아니라 자연스럽게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여유도 생긴다. 문제의 뿌리를 찾고 내가 어떻게 나아가야할 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휴식을 위한 방법 중 5분 명상이 빠지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해본 사람은 알것이다. 가만히 눈을 감고 숨에 집중하는 명상이 이후 일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런데 명상은 불교에서나 하는 게 아닌가요?
효과적인 휴식법, 명상 - 마인드 풀니스
사실 명상이라고 하면 수도자들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종교적인 느낌이 강한 명상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에게는 더욱 거부감이 들것이다. 하지만 수행이라함은 내 마음을 닦는 것. 무언가 절대적인 존재를 믿는 종교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종교에서건 사색하는 시간을 중요시한게 아닐까. 또 다른 종교에서도 신에게 더 가까워지는 일로써 명상을 권하 곳이 많다. 명상은 특정 종교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도하는 것 또한 명상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명상은 종교행사에서나 하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민간의 영역에서도 이런 명상법을 가르쳐주는 곳이 많아졌다. 전국의 많은 요가원, 명상센터들이 그 것이고 스티브잡스 명상법으로 불리는 '마인드 풀니스'도 구글, 애플 같은 세계 유수의 회사들이 직원복지로 도입했다.
이제 명상이라는 휴식법은 생각보다 우리의 삶속에 깊이 들어와있다.
이전처럼 특별한 사람들만하는 이질적인 행위는 아닌 것이다.
마인드 풀니스, 일상으로 들어온 수도자들의 명상법
효과적인 휴식법, 명상 - 마인드 풀니스
지금 당장 구글에 스트레스 해소법을 치고 정신과 의사들이 말하는 방법들을 5분만 살펴보자. 3가지이든 5가지이든 9가지이든 그 중의 하나는 명상, 혹은 깊이 숨을 들이마쉬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만큼 숨쉬는 것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질 좋은 휴식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어떤 휴식보다 효율적인 스트레스 해소법 '명상'. 어떤 장소에서든 혼자서 집중할 시간만 주어진다면, 언제든지 할 수 있고 누구나 어렵지않게 시도해 볼 수 있다.
직장인 업무 스트레스, 주부들의 집안일 스트레스, 학생들의 공부 스트레스에 고통받고 있는 사람이라면
단 오분만 시간을 내서 내가 들이쉬고 내쉬는 숨에 집중해보자.
방법이 정확하지 않아도 좋다. 그저 눈을 감고 숨을 쉬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해소 효과가 있다.
아마도 이 글을 클릭한 사람이라면 참을 수 없는 일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한다.
댓글